메뉴 건너뛰기

    Total : 1243383 Today : 4322 Yesterday : 6471 Join : 0 / 0
    Total : 1243383 Today : 4322 Yesterday : 6471 Join : 0 / 0

사이버상담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노인우울증의 정의

"요즘에 자꾸 깜박하고 기운도 없어요."
우울증은 소아청소년기, 젊은 성인기, 중년기, 노년기 등에서 각각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이는 각 연령에 따라 다른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 여건이나 대인관계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우울증을 유발하는 데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노년기에는 특징적으로 정상적인 노화로 인하여 신체기능 저하를 경험하게 됩니다. 과거 무리 없이 수행했던 많은 활동들을 서서히 하지 못하게 되면서 좌절감을 느끼고 자존감이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노인들은 다양한 만성질환을 동반하며 삶의 질이 낮아지게 됩니다. 흔히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퇴행성 관절질환들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식사나 외부활동을 하는데 많은 지장을 받습니다. 특히 만성적인 통증은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이러한 스트레스들로 인하여 노인들은 우울감, 상실감 등을 자주 느낍니다. 마지막으로 노년기는 활발한 사회, 경제적 활동을 마무리하는 시기로서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고립에 놓이기 쉽습니다. 

노인 우울증은 증상에 있어서도 특징이 있습니다. 흔히 우울증에서는 전형적으로 우울감, 흥미가 없음, 의욕 저하, 수면 변화, 체중감소, 집중력 감소 등이 나타나지만 노인에서는 주관적인 우울감을 호소하기보다는 모호한 신체 증상, 불면, 인지기능 감퇴, 성격 변화 등의 증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이러한 이유로 노인 우울증은 초기에 발견되지 않고 여러 병원을 거치면서 치료해도 잘 낫지 않고 검사를 반복해도 이상 소견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이런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권유받는 경우가 흔합니다. 심지어 인지기능 저하 증상으로 인하여 치매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노인 우울증의 경우 환자들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치료의 동기를 가지지 못하거나 여러가지 부담감으로 인하여 치료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국가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지원이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에 조기에 노인 우울증을 치료받는 것이 삶의 질을 향상하고 오히려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사례) 75세/여성
75세 여성 A 씨는 6개월 전부터 우울감이 시작되었고 최근 1~2개월 전부터 여기저기 아프고 불안, 불면이 심해져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였습니다. 미혼이었던 A 씨는 6개월 전 같이 살던 오빠가 신체 질환으로 사망을 한 뒤 우울감, 상실감이 컸습니다. 세상을 떠난 오빠의 유품들을 버리지 못하고 간직했다고 하며 그것들이 눈에 보일 때마다 매일 눈물이 났습니다. 하지만 다른 형제인 언니가 있어 그 아픔들을 어느 정도 견디며 생활했습니다. 하지만 2개월 전 마음에 의지가 되었던 언니도 평소 앓고 있던 당뇨병이 악화하여 요양병원에 입원하게 되자 불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언니가 조만간 잘못되어 세상을 떠날 것만 같았고 자신도 당뇨를 앓고 있어 어느 날 갑자기 건강이 나빠져 잘못될 것 같다는 생각이 머리에서 떠나질 않았습니다. 언니의 상태를 직접 보고 싶었지만 코로나 19로 인하여 면회가 안되는 상황이라 A 씨는 더욱 불안해졌습니다. 환자는 잠이 들 때면 불안한 생각이 심해져 잠을 잘 이루지 못했고 생활이 불규칙해지면서 평소 앓고 있던 당뇨병도 잘 조절이 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자신이 일상적으로 해왔던 일들도 원활하게 하지 못하고 시간이 오래 걸렸으며 자주 사용하는 물건들을 어디에 놓았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 불편감이 커졌습니다. 결국, 평소 알고 지내던 지인의 도움으로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연계되어 병원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진단기준

노인 우울증의 진단은 일반적인 우울증의 진단기준과 다르지 않습니다. 우울증의 진단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의 면담에 의해 내려집니다.
그 기준은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에 따릅니다. 

주요 우울증 삽화의 DSM-5 진단 기준


A. 다음 증상 가운데 5개(또는 그 이상) 증상이 연속 2주 기간 동안 지속되며, 이러한 상태가 이전 기능으로부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위의 증상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1) 우울 기분이거나, (2)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이어     야 한다.


    주의: 명백한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증상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1) 하루의 대부분, 그리고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이 주관적인 보고(슬프거나 공허하다고 느낀다)나 객관적인 관찰(울 것처럼 보인다)에서 드러난다.
 
    주의: 소아와 청소년의 경우는 과민한 기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2) 모든 또는 거의 모든 일상 활동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이 하루의 대부분 또는 거의 매일같이 뚜렷하게 저하되어 있을 경우(주관적인 설명이나 타인에 의한 관찰에서 드러난다)


  (3) 체중 조절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예, 1개월 동안 체중 5% 이상의 변화)에서 의미있는 체중 감소나 체중 증가, 거의 매일 나타나는 식욕 감소나 증가가 있을 때
 
    주의: 소아의 경우 체중 증가가 기대치에 미달되는 경우 주의할 것.


  (4) 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 수면


  (5) 거의 매일 나타나는 정신운동초조나 지연(주관적인 좌불안석 또는 처진 느낌이 타인에 의해서도 관찰 가능하다)


  (6) 거의 매일의 피로나 활력 상실


  (7) 거의 매일 무가치감 또는 과도하거나 부적절한 죄책감을 느낌(망상적일 수도 있는)(단순히 병이 있다는 데 대한 자책이나 죄책감이 아님).


  (8) 거의 매일 나타나는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주관적인 호소나 관찰에서)


  (9) 반복되는 죽음에 대한 생각(단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뿐만 아니라), 특정한 계획없이 반복되는 자살생각 또는 자살기도나 자살수행에 대한 특정 계획


B.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기타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일으킨다.


C. 증상이 물질(예, 약물남용, 투약)이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예,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


D. 주요우울 삽화가 다른 정신과적 장애(조현병, 망상장애 등)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E. 조증 삽화 혹은 경조증 삽화가 존재한 적이 없다.



우울증을 진단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심리검사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검사는 진단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경과에 따른 증상의 변화나 치료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국가정신건강정보포털 | 정신건강정보 > 질환별 정보 > 노인우울증 (mentalhealth.g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어르신들의 소중한 마음건강, 함께 지켜드립니다. file 6
공지 *사이버 상담실 이용방법 안내* file 1313
236 [건강정보] 노인기 더욱 주의해야 하는 근감소증 건강하게 예방하기 file 2
235 [건강정보]건강기능식품이란 무엇인가요? file 5
234 [생활법령정보]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하기 8
233 [생활법령정보] 다단계판매원에게 구입한 물건을 취소하고 싶어요. 10
232 [법률정보]자동차양수인이 이전등록을 미루는 경우 양도인의 구제방법 13
231 [법률정보] 주택임대차와 상속 14
230 [건강정보]심근경색(2) - 치료와 예방 14
229 [건강정보]심근경색(1) - 증상과 원인 14
228 삶의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 고민하지 말고 연락주세요 file 21
227 [법률정보]깡통전세 사기, 피해자 대처법은? 22
226 [건강정보]뇌혈관 질환(2) - 뇌졸중 이후의 삶 25
225 [건강정보] 뇌혈관 질환(1) - 뇌졸중에 대해서 23
224 [생활안전정보] 대설 및 한파 등 겨울철 재난 대비 '안전디딤돌 앱' 설치안내 file 42
223 [세무정보] 국세청이 알려주는 양도소득세 실수사례 file 56
222 [건강정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예방가이드 file 112
» [건강정보] 노인우울증의 진단/사례/증상 및 진단기준 update 187
220 [건강정보] 봄의 불청객, 꽃가루 알레르기의 예방과 관리 file 113
219 [법률정보] 무연고자 사망 후 상속재산처리 절차 및 제도개선 방향 토론회 자료 file 145
218 [건강정보]치매, 이렇게 대처합시다 334
217 [법률정보] 스토킹 범죄 판단 기준 152
Board Pagination 1 2 3 4 5 6 7 8 9 10 ... 12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