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Total : 1243467 Today : 4406 Yesterday : 6471 Join : 0 / 0
    Total : 1243467 Today : 4406 Yesterday : 6471 Join : 0 / 0

사이버상담실

조회 수 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심근경색이란?]

급성 심근경색증이란,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여러 가지 원인(혈전 등)에 의해 갑자기 막혀서 심장에 산소가 통하지 않아 심장 근육이 괴사되는 질환입니다. 일부 심장근육이 영구적으로 죽게 되어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럴 경우 심장은 효과적으로 펌프 작용을 하지 못하여 결국 점차 심부전으로 진행되거나 급사에 이르게 됩니다.

- 심장과 관상동맥

심장은 우리가 어머니 배 속에 있을 때부터 뛰기 시작하여 평생 동안 신선한 피를 온몸으로 내보내는 엄청난 일을 합니다. 이렇게 쉬지 않고 많은 일을 하는 심장 근육은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야만 하며, 그 역할을 하는 혈관을 관상동맥이라고 합니다. 관상동맥은 심장 표면에 위치하며, 좌전하동맥, 좌회선동맥, 우관상동맥 3개의 주요 혈관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자 심장의 다른 부위에 혈액을 공급합니다.

- 심근경색 발생 과정

동맥경화증이란, 혈관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어 혈관 내부의 지름(내경)을 좁게 만들며, 좁아진 혈관으로 인해 혈류에 장애를 초래하는 혈관질환입니다.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가 생겨 점점 커지게 되면 혈관이 좁아져 혈류 장애를 일으켜 협심증을 야기하고, 완전히 막히게 되면 심근경색증을 초래하게 됩니다.

가장 흔한 발생 원리는 관상동맥의 동맥 경화반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피 덩어리)에 의해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면서 심근의 괴사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동맥경화증이 매우 심하게 진행되어 관상동맥이 막히면 피가 부족하게 되어 허혈이 발생하며, 그로부터 2~3시간 이내에는 심근내막 중심부로부터 괴사가 진행되어 점차적으로 외막으로 진행됩니다. 관상동맥이 폐쇄 후 24시간이 지나게 되면, 심근의 전체가 괴사가 진행되어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진행되게 됩니다.

 

 

[심근경색의 증상]

30분 이상 지속되는 가슴 통증과 함께 땀이 날 시, 급성 심근경색을 강력히 의심할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 심근경색의 대표 증상

 

1. 가슴 통증

가장 흔히 느낄 수 있는 증상은 가슴 통증입니다. 명치부나 가슴 한 가운데의 통증이 전형적이며, 환자들은 이 통증을 '가슴을 짓누른다', '쥐어짜는 듯하다', '칼로 도려내는듯하다', '뻐개지는 것 같다'라고 표현합니다.

 

2. 다른 부위의 통증(방사통)

통증이 가슴 이외의 부위로 퍼져나갈 수 있는데, 이러한 방사통은 주로 좌측 팔, 목, 턱 등 배꼽 위의 신체부위에 흔히 나타납니다.

 

3. 호흡곤란

 

4. 의식의 혼돈

환자는 극도로 불안해하고 안절부절못하고, 의식상태가 저하되기도 합니다.

 

5. 식은땀

심장의 수축기 기능이 감소되어, 안면이 창백하고 땀이 나며 손발이 차가워질 수 있습니다.

 

6. 구토, 위통, 식욕 부진

급성 체증이나 위장질환으로 오인할 수 있습니다.

 

-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했을 때 응급조치

의심하고 119누르고 응급실로

  • 가능하면 움직이지 않습니다.
  • 흉통 발생 후에도 “좋아지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로 기다리면서 시간을 낭비하거나, 개인병원, 약국, 한의원 등을 방문하여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야 합니다.
  • 망설이지 말고 119를 불러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증상 발생 후 최대한 빨리, 6시간 또는 적어도 12시간 이내에 병원에 방문해야 심근 괴사를 최대한 막을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의 원인]

흡연,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은 주된 위험인자로 철저히 관리하여 심근경색증의 발생을 미리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

  • 흡연
  • 고지혈증 : 고 LDL 콜레스테롤혈증, 저 HDL 콜레스테롤혈증
  • 고혈압
  • 당뇨병
  • 비만
  • 운동부족
  • 성격
  • 폐경과 경구피임제
  • 통풍

- 조절 불가능한 위험인자

  • 나이 : 남자≥45세, 여자≥55세
  • 성별 : 남자>여자
  • 인종 : 백인>황인
  • 가족력 : 조기 심장병 가족력(직계가족, 남자 < 55세, 여자 < 65세)

 

출처: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health.kdca.g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어르신들의 소중한 마음건강, 함께 지켜드립니다. file 6
공지 *사이버 상담실 이용방법 안내* file 1313
236 [건강정보] 노인기 더욱 주의해야 하는 근감소증 건강하게 예방하기 file 2
235 [건강정보]건강기능식품이란 무엇인가요? file 5
234 [생활법령정보]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하기 8
233 [생활법령정보] 다단계판매원에게 구입한 물건을 취소하고 싶어요. 10
232 [법률정보]자동차양수인이 이전등록을 미루는 경우 양도인의 구제방법 13
231 [법률정보] 주택임대차와 상속 14
230 [건강정보]심근경색(2) - 치료와 예방 14
» [건강정보]심근경색(1) - 증상과 원인 14
228 삶의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 고민하지 말고 연락주세요 file 21
227 [법률정보]깡통전세 사기, 피해자 대처법은? 22
226 [건강정보]뇌혈관 질환(2) - 뇌졸중 이후의 삶 25
225 [건강정보] 뇌혈관 질환(1) - 뇌졸중에 대해서 23
224 [생활안전정보] 대설 및 한파 등 겨울철 재난 대비 '안전디딤돌 앱' 설치안내 file 42
223 [세무정보] 국세청이 알려주는 양도소득세 실수사례 file 56
222 [건강정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예방가이드 file 112
221 [건강정보] 노인우울증의 진단/사례/증상 및 진단기준 update 187
220 [건강정보] 봄의 불청객, 꽃가루 알레르기의 예방과 관리 file 113
219 [법률정보] 무연고자 사망 후 상속재산처리 절차 및 제도개선 방향 토론회 자료 file 145
218 [건강정보]치매, 이렇게 대처합시다 334
217 [법률정보] 스토킹 범죄 판단 기준 152
Board Pagination 1 2 3 4 5 6 7 8 9 10 ... 12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