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Total : 1243311 Today : 4250 Yesterday : 6471 Join : 0 / 0
    Total : 1243311 Today : 4250 Yesterday : 6471 Join : 0 / 0

사이버상담실

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하기

 

 

19세 이상의 사람은 누구나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란 19세 이상인 사람이 자신의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하기로 하는 결정(이하 “연명의료중단등 결정”이라 함) 및 호스피스에 관한 의사를 직접 문서(전자문서 포함)로 작성한 것을 말합니다(「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2조제9호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지 제6호서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내용
 
   연명의료중단등 결정
   호스피스의 이용 여부
   작성 연월일
   작성자의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작성자가 작성 전 설명사항을 이해하였다는 확인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열람허용 여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및 상담자에 관한 사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방법
작성자 및 등록기관
19세 이상인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가 되었을 때를 대비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2조제9호).
작성자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반드시 보건복지부의 지정을 받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을 방문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작성해야 합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11조제1항, 제12조제1항 및 제2항 참조).
   「지역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지역보건의료기관(보건소, 보건의료원, 보건지소 및 건강생활지원센터)
   의료기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관한 사업을 수행하는 비영리법인 또는 비영리단체(「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 제4조에 따라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를 말함)
   노인복지관
 
※ 각 지역에 위치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가능 기관은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홈페이지-사전연명의료의향서-작성 가능 기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성방법
<출처: 「2023 연명의료결정제도」(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2024. 5.), 20쪽 참조>
 
작성 전 설명사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은 작성자에게 아래의 사항을 충분히 설명하고 작성자로부터 내용을 이해하였음을 확인받아야 합니다(「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12조제2항).
   연명의료의 시행방법 및 연명의료중단등 결정에 대한 사항
   호스피스의 선택 및 이용에 관한 사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효력 및 효력 상실에 관한 사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작성·등록·보관 및 통보에 관한 사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변경·철회 및 그에 따른 조치에 관한 사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기록의 이관에 관한 사항
 
작성 시 유의사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작성 전 설명사항을 듣고 본인의 자발적 의사에 따라 직접 작성해야 합니다(「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12조제1항 및 제2항 참조).
 
※ 나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조회는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홈페이지-사전연명의료의향서 본인조회서비스>에서 할 수 있습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효력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변경 또는 철회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사람은 언제든지 그 의사를 변경하거나 철회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의 장은 지체 없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변경하거나 등록을 말소해야 합니다(「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12조제6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의 장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가 변경 또는 철회된 경우 그 결과를 국립연명의료 관리기관의 장에게 통보해야 합니다(「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12조제7항).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효력 상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효력이 없습니다(「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제12조제8항 본문).
   본인이 직접 작성하지 않은 경우
   본인의 자발적 의사에 따라 작성되지 않은 경우
   작성 전 설명사항이 제공되지 않거나 작성자의 확인을 받지 않은 경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등록 후에 연명의료계획서가 다시 작성된 경우(단, 이 경우에는 다시 작성된 때부터 효력을 잃음)

 

 

[이 정보는 2025년 5월 15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생활법령정보는 법적 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의 근거가 되지 않고, 각종 신고, 불복 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습니다.
  • 구체적인 법령에 대한 질의는 담당기관이나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법제처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조회 수
공지 어르신들의 소중한 마음건강, 함께 지켜드립니다. file 6
공지 *사이버 상담실 이용방법 안내* file 1313
236 [건강정보] 노인기 더욱 주의해야 하는 근감소증 건강하게 예방하기 file 2
235 [건강정보]건강기능식품이란 무엇인가요? file 5
» [생활법령정보]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하기 8
233 [생활법령정보] 다단계판매원에게 구입한 물건을 취소하고 싶어요. 10
232 [법률정보]자동차양수인이 이전등록을 미루는 경우 양도인의 구제방법 13
231 [법률정보] 주택임대차와 상속 14
230 [건강정보]심근경색(2) - 치료와 예방 14
229 [건강정보]심근경색(1) - 증상과 원인 14
228 삶의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 고민하지 말고 연락주세요 file 21
227 [법률정보]깡통전세 사기, 피해자 대처법은? 22
226 [건강정보]뇌혈관 질환(2) - 뇌졸중 이후의 삶 25
225 [건강정보] 뇌혈관 질환(1) - 뇌졸중에 대해서 23
224 [생활안전정보] 대설 및 한파 등 겨울철 재난 대비 '안전디딤돌 앱' 설치안내 file 42
223 [세무정보] 국세청이 알려주는 양도소득세 실수사례 file 56
222 [건강정보]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예방가이드 file 112
221 [건강정보] 노인우울증의 진단/사례/증상 및 진단기준 update 187
220 [건강정보] 봄의 불청객, 꽃가루 알레르기의 예방과 관리 file 113
219 [법률정보] 무연고자 사망 후 상속재산처리 절차 및 제도개선 방향 토론회 자료 file 145
218 [건강정보]치매, 이렇게 대처합시다 334
217 [법률정보] 스토킹 범죄 판단 기준 152
Board Pagination 1 2 3 4 5 6 7 8 9 10 ... 12
/ 12